본문 바로가기

금융

주식의 기초 PER, PBR, PSR, EV/EBITDA의 개념과 정의

주식시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식용어에 대해서 공부해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PER, PBR, PSR, EV/EBITDA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990년대 국내 증시가 외국인에게 개방되면서 주가수익비율인 PER이 낮은 종목이 인기를 모으기 시작했습니다. 당시 외국인들이 사 모았던 종목들이 PER가 낮은 종목이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주식 투자를 한다고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PER를 말하기 시작했습니다. PER은 주가를 회사의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수치입니다. 쉽게 말해 회사가 내는 순이익에 비해 주가가 얼마나 비싼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그리고 하락장에서 특히 시장의 주목을 받는 기업들은 이른바 땅부자 기업들입니다. 기업이 보유한 자산의 장부가치가 얼마나 되는지는 그 회사의 주가와도 직결되는데 그런 점에서 고안된 투자지표가 주가순자산비율인 PBR입니다. PBR는 회사 주가가 순자산의 장부가치 대비 얼마나 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만약 PBR가 1배에도 미치지 못한다면 회사의 시가총액이 회사가 보유한 자산의 청산가치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얘기입니다. 그만큼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는 신호인데, 증시가 하락할 때는 미래 기대 수익에 대한 전망보다는 안전한 자산주에 투자하려는 움직임이 있게 마련이어서 저 PBR주 인기가 높습니다. PER나 PBR로는 가치 측정이 어려운 기업들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성장가능성으로 주목받는 신생 기업들입니다. 이들 기업들은 당장은 수익을 내지는 못하지만 미래 가능성을 보고 지금 투자에 집중하고 있는 곳들입니다. 그러므로 PER는 적당한 지표가 되지 못합니다. 자산도 별로 없기 때문에 PBR도 별로입니다. 그래서 수익성보다는 매출의 증가세를 중요한 지표로 사용합니다. 즉 주가매출액비율 PSR로 평가하는 것입니다.

PSR의 창시자는 유명 투자전략가인 켄 피셔입니다. 그는 실제 기업가치보다 싼 주식을 사서 오랫동안 묵혀 두라는 워랜 버핏류 투자 철학의 맹점을 파고들기 위해 이 같은 지표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결국 시장에 모든 정보가 담겨 있다는 효율적 시장 가설을 믿는 그로서는 종목을 잘 고르기보다는 남들과 다른 생각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모두가 PER를 보고 있을 때 시장의 맹신에 착안해 PSR를 만들어 낸 것입니다. 이 지표가 만들어진 뒤 실제 널리 사용된 것은 과거 미국에서 닷컴 열풍이 불 때입니다. 수많은 벤처 기업의 평가 기준으로 이 지표가 사용되었습니다. 벤처 기업의 속성상 투자비용이 많아 영업이익이 나지않기 때문에 매출로만 기업을 평가하게 된 것입니다. 다만 PSR는 비율이 높을수록 향후 기업 성장성이 시장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는 의미도 되지만, 주가에 거품이 있다는 것으로도 볼 수 있기 때문에 지표와 함께 기업의 본질적 요소인 기술이나 판매망에 대한 분석도 함께 이뤄져야 합니다.

PER를 더 정교하게 만든 것이 EV/EBITDA입니다. 이는 읽는 것부터가 어려운데 이브이에비타라고 읽습니다. EV/EBITDA의 뜻은 기업의 시가총액에 순부채를 더한 기업가치를 세금이나 감가상각, 이자비용 등을 빼기 전의 영업이익으로 나눈 수치를 말합니다. 분모에 주가가 반영돼 있고 분자에 기업의 영업이익이 들어가 있으므로 대체로 PER과 비슷하지만 보다 정밀한 분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우선 기업의 영업이익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PER과 차이가 있습니다. 앞에서 살펴봤듯 이 PER는 순이익을 사용하는 데 반해 EV/EBITDA는 기업의 본질적인 활동을 통한 수익인 영업이익을 반영하기 때문에 보다 엄밀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게다가 감가상각이나 차입금까지 반영합니다. 이 밖에 EV/EBITDA는 기업을 인수할 경우 몇 년 안에 영업이익을 통해 본전을 챙길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로도 활용됩니다.